URI(Uniform Resource Identifier)란?
직역하면 "통합 자원 식별자" 라고 하는데 처음에는 이해하기 어렵다. 좀 더 쉽게 표현하면 인턴넷 어딘가에 있는 자원을 찾아 식별하는 문자열 형식이다.
그럼 URL(Uniform Resource Locator)란?
흔히 웹 주소라고도 하는데 , 인터넷 어딘가에 있는 자원의 위치를 표현하는 문자열 형식이다.
읽어보면서 느낄 수 있듯이 URL은 URI의 서브셋(부분집합)이다. 따라서 모든 URL은 URI 이다.
그럼 두 개념을 구분하는 건 무엇이냐? 그건 URI는 식별하고 , URL은 위치를 가르킨다는 것이다. 즉 URL은 식별자가 필요 없는 좀 더 작은 개념인 셈이다.
예시를 보면 좀더 이해하기 쉽다.
https://forrest-code-13.tistory.com/16(Path Variable 방식)
이 문자열에서 URI와 URL을 나눠보면
URI = https://forrest-code-13.tistory.com/16
URL = https://forrest-code-13.tistory.com
보시다 시피 URL은 그냥 위치이기 때문에 식별자가 필요없다 , 때문에 마지막 /16은 제외된다.
예시를 더 들어보자면
https://forrest-code-13.tistory.com/one?id=16 (Query Parameter 방식)
URI = https://forrest-code-13.tistory.com/one?id=16
URL = https://forrest-code-13.tistory.com/one
https://forrest-code-13.tistory.com/one/write.html ( /one 디렉토리 아래의 write.html을 가리킨다. )
URI = https://forrest-code-13.tistory.com/write.html
URL = https://forrest-code-13.tistory.com/write.html
여기서는 식별자가 아닌 자원을 그대로 가리키기 때문에 write.html도 포함된다.
'C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Spring DI 방법들 (0) | 2023.04.20 |
---|---|
DTO , VO , Entity의 간단한 정리 및 비교 (0) | 2023.04.16 |
REST API (0) | 2023.04.13 |
자주 사용되는 spring anotation 10가지 (0) | 2023.04.13 |
HTTP와 HTTP method (0) | 2023.04.12 |
URI(Uniform Resource Identifier)란?
직역하면 "통합 자원 식별자" 라고 하는데 처음에는 이해하기 어렵다. 좀 더 쉽게 표현하면 인턴넷 어딘가에 있는 자원을 찾아 식별하는 문자열 형식이다.
그럼 URL(Uniform Resource Locator)란?
흔히 웹 주소라고도 하는데 , 인터넷 어딘가에 있는 자원의 위치를 표현하는 문자열 형식이다.
읽어보면서 느낄 수 있듯이 URL은 URI의 서브셋(부분집합)이다. 따라서 모든 URL은 URI 이다.
그럼 두 개념을 구분하는 건 무엇이냐? 그건 URI는 식별하고 , URL은 위치를 가르킨다는 것이다. 즉 URL은 식별자가 필요 없는 좀 더 작은 개념인 셈이다.
예시를 보면 좀더 이해하기 쉽다.
https://forrest-code-13.tistory.com/16(Path Variable 방식)
이 문자열에서 URI와 URL을 나눠보면
URI = https://forrest-code-13.tistory.com/16
URL = https://forrest-code-13.tistory.com
보시다 시피 URL은 그냥 위치이기 때문에 식별자가 필요없다 , 때문에 마지막 /16은 제외된다.
예시를 더 들어보자면
https://forrest-code-13.tistory.com/one?id=16 (Query Parameter 방식)
URI = https://forrest-code-13.tistory.com/one?id=16
URL = https://forrest-code-13.tistory.com/one
https://forrest-code-13.tistory.com/one/write.html ( /one 디렉토리 아래의 write.html을 가리킨다. )
URI = https://forrest-code-13.tistory.com/write.html
URL = https://forrest-code-13.tistory.com/write.html
여기서는 식별자가 아닌 자원을 그대로 가리키기 때문에 write.html도 포함된다.
'C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Spring DI 방법들 (0) | 2023.04.20 |
---|---|
DTO , VO , Entity의 간단한 정리 및 비교 (0) | 2023.04.16 |
REST API (0) | 2023.04.13 |
자주 사용되는 spring anotation 10가지 (0) | 2023.04.13 |
HTTP와 HTTP method (0) | 2023.04.12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