HTTP method를 설명하기 위해서는 HTTP가 무엇인지 부터 알아야 한다.
간단하게 설명하면 인터넷에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프로토콜(규칙)이며 아래와 같은 순서로 동작한다.
클라이언트 측에서 브라우저를 통해 어떤 서비스를 url을 통해 또는 다른 것을 통해 ( 대부분 url ) 요청(request)을 하면
서버에서는 해당 요청에 맞는 결과값을 클라이언트에게 응답(response)의 형태로 돌려준다.
HTTP 를 통해 HTML , JSON , XML 등과 같은 형태의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다. 보통 클라이언트가 어떤 형태의 정보를 받고싶다고 명시해주는 경우가 많다.
그럼 HTTP method란?
위에서 설명한 요청(request)과 응답(response)의 방식 , 쉽게는 서버에 요청보내는 방법을 말한다.
종류들
- GET : 서버에 있는 데이터를 얻을(get) 때 사용
- POST : 데이터 우편(post)처럼 보내서 서버에 데이터를 추가,등록,처리등에 사용
- PUT : 서버에 있는 데이터를 덮어씌울(put) 때 사용
- DELETE : 서버에 있는 데이터를 삭제할(delete) 때 사용
- HEAD : GET과 같은 응답을 요구하는게 비슷하다 , 하지만 body(응답의 실질적인 내용)을 제외하고 상태 줄과 header만 응답으로 받는다. 덕분에 GET보다는 빠른 응답을 얻는다.
- OPTIONS : 클라이언트가 원하는 서버의 자원 (resource)에 대한 통신 가능한 method들(options)이 뭐가 있는지 확인할 때 사용
- TRACE : 요청한 서버의 자원이 어떤 경로로 수신되는지 보여줌 , 어렵게는 대상 리소스에 대한 경로를 따라 메시지 루프백 테스트를 수행한다.
- PATCH : PUT과 유사하지만 PUT은 전체를 덮어쓸 때 사용하고 , 이건 일부분을 덮어씌울 때 사용한다.
- CONNECT : 프록시 서버와 같은 중간 서버 경우 , 요청한 리소스에 대해 양방향 연결을 시작할 때 사용
'C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DTO , VO , Entity의 간단한 정리 및 비교 (0) | 2023.04.16 |
---|---|
자주 사용되는 spring anotation 10가지 (0) | 2023.04.13 |
controller , service , repository (0) | 2023.04.08 |
비즈니스 로직 (0) | 2023.04.07 |
DDD( Domain Driven Design ) (0) | 2023.04.05 |